목차
1️⃣ 센터별로 제품의 보관방법별로 차지할 면적을 제안하는 대시보드
2️⃣ 분기별+권역별 평균 출고량과 주요 품목을 보여주는 대시보드
3️⃣ 해당 상품의 출고건당 CBM을 보여주는 대시보드를 보여주어 안전재고로 적절한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
주로 냉동식품을 운송하는 물류사에서 수도권에 위치한 DC1창고에서 대부분의 물류를 출고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라고 판단.
본 물류사가 가지고 있는 물류센터 DC2, HC0, YC0, JC0를 활용하여 고객에게 빠른 배송을 할 수 있는 특정물류센터 안전재고 품목 제안 대시보드 제작
품목의 카테고리 별 출고 건수 그래프를 확인하여 제품별 성수기가 있는지 확인하고, 본 물류사에서 출고 건 수가 많은 제품을 확인하여, 해당 제품의 출고빈도 대비 CBM을 고려하여 안전재고를 추천할만한 물류센터를 선택.
센터별로 제품의 보관방법별로 차지할 면적을 제안하고, 분기별+권역별 평균 출고량과 주요 품목을 보여주어, 해당 상품이 안전재고를 쌓아두기에 적절한 물류센터를 보여준다.
비효율을 정의하기에 중요한 지표인 소요시간을 데이터에서 알 수 없어 면밀한 데이터 검증이 되지 않았다.
product
destination
delivery
vehicle
center
(설명)delivery
테이블의 출고 내역은 21년 1월부터 23년 10월까지로 제한